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6년 최저임금 1만320원 확정! 내 월급 얼마나 오를까 계산해봤습니다

by riverbizlab 2025. 7. 12.

“2026년 최저임금은 1만320원.
이 숫자 하나에 내 월급, 인건비, 알바비가 전부 바뀝니다.”

모르면 손해 보는 게 아니라, 그냥 당하는 시대가 됐습니다.

1. 2026년 최저임금, 정확히 얼마인가요?

✔️ 2026년 최저임금은 시급 10,320원으로 확정됐습니다.
✔️ 전년도보다 290원 인상, 인상률 2.9%
📅 적용 시점은 2026년 1월 1일,
🧮 월 환산금액은 2,156,880원 (주 40시간 기준, 월 209시간 계산 기준)
이 결정은 근로자·사용자·공익위원이 표결 없이 합의한 것으로,
무표결 합의는 17년 만에 처음 있는 일입니다.

 

2. 얼마나 오른 건가요? (2025년과 비교)

2025년10,030원
2026년10,320원+290원+2.9%

 
 
2026년 주휴수당 포함 시 실질 시급은 약 12,354원
 
이번 인상은 최근 5년 중 가장 낮은 인상률 중 하나로,
고물가 시대에 실질소득 보전이 어렵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 아직 계산 안 해보셨다면 👉 당신 월급이 얼마나 오를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3.내 월급은 얼마나 오를까요?

풀타임 근무자 기준 (주 40시간)
👉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 2025년보다 월 60,610원 인상
파트타임(주 20시간)
👉 10,320원 × 20시간 × 4.345주 ≈ 896,928원
(주휴수당 포함 시 더 많아짐)
💡 계산은 위 버튼으로 직접 해보시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 4. 최저임금 오르면 달라지는 것들

최저임금이 오르면 내 월급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도와 수당들도 함께 인상됩니다.

  • 주휴수당 – 시급 기준이 올라가면 주휴수당도 함께 상승
  • 연차수당 – 연차를 사용할 경우 지급받는 수당도 시급 기준으로 올라감
  • 퇴직금 – 퇴직금 계산 시 평균임금 기준에 포함되어 전체 금액 상승
  • 고용보험 실업급여 – 하한선이 최저임금에 연동되어 상향 조정
  • 정부지원금 기준 – 청년, 근로자, 소상공인 대상 지원금 지급 기준도 인상
💡 예: 2026년 실업급여 하한선도 10,320원 기준으로 상향 조정됩니다.

 

이번 결정, 왜 이슈인가요?

                                                                           
특히 자영업자 커뮤니티에서는
“1명당 월 6만 원씩 더 나가는데, 3명 쓰면 20만 원이야”
라는 반응도 나오고 있습니다.

6. 핵심 요약 정리

 

 
아직 계산 안 해보셨다면 한 번 눌러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