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주거난 해법? 매입임대주택으로 해결

by riverbizlab 2025. 7. 6.
반응형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은 해마다 커지고 있다. 월세, 보증금, 교통비까지 감당해야 하는 현실 속에서 정부의 청년 주거지원 정책이 주목받고 있다. 그 중 대표 제도인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실제 거주 안정성과 비용 측면에서 큰 장점이 있다. 지금 바로 그 내용을 살펴보자.


청년 매입임대주택이란 무엇인가?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기존 주택을 매입하여 청년에게 저렴한 임대료로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 제도다. 시세의 30~50%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와 보증금으로 거주할 수 있으며, 1인 청년가구의 실수요자 중심으로 입주 자격이 설정된다. 전세가 급등한 2020년대 초반, 청년들의 전세난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2025년 현재 전국적으로 확대 공급 중이다. 공급 형태는 오피스텔, 다세대주택, 도시형 생활주택 등 다양한 구조로 이뤄져 있으며, 입주 시 가전제품이나 일부 가구가 기본 제공되는 비율도 점차 늘고 있는 추세다.


청년 매입임대주택의 주요 조건

2025년 기준 청년 매입임대주택의 신청 자격은 다음과 같다.
①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
② 본인 또는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일 것
③ 신청 시 자산 기준(총자산 3억5천만 원, 자동차 3554만 원 이하) 충족
④ 무직자도 신청 가능하지만, 소득·자산 기준 충족 여부가 우선 고려됨
임대조건은 보증금 약 100만300만 원, 월 임대료 10만25만 원 수준이 일반적이다. 입주기간은 최초 2년, 최대 6년까지 재계약 가능하며, 취업 등으로 소득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계약 연장이 제한될 수 있다. 신청은 LH청약센터(lh.or.kr) 또는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 확인 후 신청할 수 있으며, 지역별로 상이한 공급 일정과 물량이 배정된다.


왜 청년 매입임대주택이 ‘해법’인가?

첫째, 주거비 절감 효과가 탁월하다. 수도권 기준 월세 50만 원 이상이 일반적인 상황에서, 청년 매입임대는 월 10만 원대로 입주 가능하며, 관리비 부담도 낮다. 둘째, 지역 선택의 폭이 넓다. 서울뿐 아니라 수도권, 지방 중소도시까지 공급 확대가 이뤄지고 있어 학교·직장과의 거리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셋째, 공공임대라는 안정성 덕분에 급작스런 퇴거 걱정 없이 중장기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또한 2025년부터는 매입임대주택 입주자에게 ‘자립준비금’ 지원, ‘주거상담 서비스’ 연계 등 추가 서비스도 함께 제공되고 있다. 즉,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청년의 생활 기반 형성과 자산 축적을 위한 발판이 되는 제도인 셈이다.


결론:
치솟는 월세와 전셋값 속에서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확실한 대안이 된다. 자격 조건만 맞으면 시세의 절반 이하로 안정된 거주지를 확보할 수 있고, 거주기간 동안 비용 절감 효과도 크다. 지금 바로 LH청약센터에서 내 지역 공급 여부를 확인하고, 신청 기회를 잡아보자.

반응형